두드러기가 생긴 것 같아요!

2022-03-10
조회수 1948


보통 많은 부모들이 두드러기가 생기면 식중독을 의심하곤 합니다.


부모는 아이 몸에 두드러기가 생기면 어젯밤에 먹은 음식이 잘 못되었는지,

우리 아기가 그 음식에 대한 알레르기가 있는 지 걱정을 합니다.  


하지만 식중독은 배가 아프고, 토하고, 설사 등 증상을 보이는 병이랍니다.

따라서, 같은 음식을 반복해서 먹을 때마다 생기지 않으면

그 음식은 두드러기의 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두드러기가 난 원인은 무엇일까 걱정이 되실 텐데요!

걱정하지마세요~!

두드러기는 원인을 잘 몰라도 치료하는 방법이 있으니까요!



두드러기가 생겼어요! 어떡해요??


- 두드러기는 금방 나타났다 사라지는 것!


두드러기는 불규칙한 지도 모양이나 둥근 모양으로 피부가 부풀어 오르면서

약간 창백한 색깔을 띠는 것이 특징이며 몹시 가려운데요!

두드러기는 불과 몇 십 분 사이에 생겼다가 없어지기도 하며

분명 이쪽에 있었는데, 금방 저쪽으로 옮겨가기도 한답니다!

이렇듯 두드러기는 금방 나타났다 사라지는 것이 특징이기 때문에

부모들도 만성이 되어 신경을 쓰지 않게 되는데요!

하지만 두드러기도 심하면 위험할 수 있습니다! 방심은 금물!



- 두드러기 약, 조심해야해요!


아이의 몸에 두드러기가 생기면 약을 함부로 먹이면 안돼요!

꼭 원인이 무엇인지 알아낸 뒤, 약을 처방 받아야 하는데요.

엄마들이 아이에게 두드러기가 생기면 식중독을 의심하지만

사실 식중독이 원인인 경우는 거의 없답니다.

하지만 최근에 먹은 음식물이나 약을 모두 적어두는 것은 필수!



- 의심되는 음식물이 있다면? 


두드러기의 원인이라고 의심되는 음식이 있다면 일단 그 음식은 먹이지 마세요. 

예를 들어, 이유식으로 어떤 음식을 처음 먹였는데 아이 몸에 두드러기가 생겼다면

 1~3개월 후에 그 음식을 다시 먹여서 또 두드러기가 생기는 지 확인하여

그 음식이 두드러기의 원인인지 아닌 지를 파악해보세요.

 


- 대부분 두드러기는 원인을 밝힐 수 없어요.


보통 두드러기는 원인을 밝힐 수 없는 경우가 많은데요!

바이러스가 원인인 경우도 있으며 원인을 모른다 하더라도 

두드러기의 원인을 몰라도 우선 조치하는 방법들이 있기 때문에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답니다.




두드러기 치료 어떻게 해요?


- 두드러기 치료는 꾸준히! 


두드러기의 원인을 알지 못해도 소아과에서는 증상에 따라 조치를 취할 수 있는데요. 

두드러기의 1차 치료는 대부분의 병원이 똑 같은 방법으로 치료 합니다.

두드러기는 오래가기도 하며, 치료해서 상태가 나아졌다가 

금방 재발하기도 하기 때문에 꾸준히 치료하는 수밖에 없답니다.



- 집에서 함부로 약을 먹여서는 안돼요!


앞서 말씀 드렸듯이, 소아과를 찾기 전에 아이에게 약을 함부로 먹이면 안됩니다. 

두드러기 때문에 소아과를 찾아오는 분들 중, 아이가 식중독인 줄 알고 

전에 먹다 남은 항생제를 미리 먹이고 오는 분들이 있는데요.

함부로 약을 사용하면 정말 위험합니다!

 


- 괴로울 정도로 가려울 땐, 냉 찜질! 

 

두드러기가 생기면 간지럽기 때문에 아이가 많이 힘들어하는데요, 

이럴 때는 냉찜질을 해주어 가려움증을 해소시켜줍니다. 

가려움증이 아주 심할 때는 가려운 부위를 얼음 덩어리로 10분 정도 문질러 주는 것도 도움이 된답니다.

단, 차가운 것에 의해 두드러기가 생긴 경우에는 절대로 냉찜질을 해서는 안돼요!

그리고 냉찜질을 했는데도 아이가 가려워한다면, 소아과에서 처방받는 것이 좋습니다.



 

얼굴에 생긴 두드러기는? 응급상황!


얼굴에 두드러기가 생기는 아이들은 간혹 목구멍에도 두드러기가 생기는 아이가 있는데요. 

이런 경우는 숨이 막혀 아이가 호흡 곤란으로 위험해질 수도 있어 위급한 상황입니다.

얼굴에 두드러기가 생기고 아이가 좀 이상한 것 같으면 바로 소아과 혹은 응급실로 방문해야 합니다!


두드러기가 생긴 아이가 호흡곤란이 오거나, 말하기 힘들어 하며 음식 삼키는 것 조차 어려워한다면?

 바로 응급실에 가야 합니다.

두드러기가 자꾸 반복되어 생기거나, 아이가 열이 나면서 

배가 심하게 아프다고 할 때도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두드러기는 보통 3일에서 4일이 지나면 사라지는데요, 

오래 가는 경우에는 몇 달동안 지속될 수도 있습니다.


※ 두드러기는 전염성이 없어,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에 가도 무방합니다.




약 복용 후, 두드러기가 생겼어요!

 

가끔 약을 먹은 후에 두드러기가 생기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런 경우 약 때문에 두드러기가 생겼다고 생각한 부모들이 

보통 기존 병원이 아닌 다른 병원에 가서 치료를 하는 분이 계신데요!

약을 먹는 도중에 두드러기가 올라온다면, 

아기를 치료하던 그 병원에 가서 치료받아야 합니다. 

의심되는 약물을 알아두고 그 약의 이름을 메모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다른 병원을 가야한다면, 반드시 사용한 약이나 이름을 알고 가야 합니다.


※ 두드러기가 심할 때, 주의사항

옷을 약간 헐렁하게 입히고 안정을 취해 주는 것이 좋아요!

병원에서 처방받은 약은 반드시 처방대로 먹어야 하며,

임의로 약을 끊는 일은 없어야 합니다.

두드러기를 잘 일으키는 음식과 약에는

땅콩, 계란, 우유, 참기름, 치즈, 조개, 페니실린, 아스피린 등이 있답니다.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