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처가 생기면 의사의 진료를 받고 치료를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찢어진 상처는 4시간 이내에 치료를 해야 세균 감염을 줄일 수 있으며
꿰매야 하는 상처는 늦어도 12시간 안에는 꼭 꿰매야 하죠.
지혈을 위해서 상처 부위에 이것저것 바르는 분들이 많은데요!
하지만 이러한 행동은 신중할 필요가 있답니다. 이유는 상처 회복에 방해가 되는 행동 일수 있기 때문에
부모는 신중하게 행동해야 합니다.
또한, 상처가 꿰매야 할 정도라면 알코올로 소독하는 응급처치는 좋은 방법은 아닙니다.
이유는 알코올로 소독한 부위는 꿰맬 때 잘 아물지 않을 수도 있답니다.
날카로운 곳에 찔렸어요! (베었어요!)

상처에 아무거나 바르면 안돼요!
상처 부위에 아무거나 바르면 치료하기가 더욱 힘들어 진답니다.
가벼운 상처일 때는 지혈만으로도 상처가 저절로 아물죠.
그런데 상처가 크게 났을 때에도 부모들은 지혈에만 급급해서
가루약이나 항생제를 상처에 듬뿍 바르고 병원에 오곤 합니다.
하지만 이런 경우에는 상처를 치료하기가 더욱 힘들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랍니다.
심지어 약이 아닌 소위 말하는 민간요법인 감자가루, 밀가루, 녹말가루 등을 바르고 오곤 하시는데요.
지혈제를 사용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그리고 바셀린 같은 경우는 지혈에는 약간 도움이 되겠지만 꿰매야 할 정도의 큰 상처라면 바르지 마시길 바랍니다.
이유는 상처 회복에 오히려 지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날카로운 곳에 찔리거나 베인 경우, 가장 베스트는 지혈제를 사용한 다음 병원으로 가셔서 치료하는 것이
우리 아이에게 흉이 덜 남게 치료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랍니다.

벌어진 상처는 꿰매야 해요!
꿰매야 할 정도로 벌어진 상처는 가능하면 4시간 이내에 꿰매야 염증을 최소화할 수 있어요.
늦어도 12시간 안에는 조치를 취해 줘야 한답니다.
더 늦으면 상처가 아무는 데 문제가 생길 수도 있기 때문에 근처,
가까운 병원이 있다면 상처 부위를 지혈하면서 바로 병원으로 가는 것을 추천합니다.
만약 병원이 멀거나 상처가 지저분하다면, 식염수나 깨끗한 물로 더러운 것을 최대한 씻긴 거즈로 지혈 후,
바로 병원으로 갑니다.
※ 상처 부위가 더러울 때 입으로 빨아내는 행동은 절대 금물입니다!
우리 아이 다친 곳, 흉을 최소화 하려면?!

아무리 작은 상처라도 병원에 가세요.
상처가 작다고 그냥 집에서 치료할 경우, 잘못하면 염증이 생기면서 흉이 남게 되는데요.
상처 부위에서 피가 나면 일단 병원에 가서 의사의 진찰을 받고 깨끗한 소독약과 거즈로 상처를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상처가 났을 때는 별 것 아니라고 생각했다가 나중에 문제가 생기거나 흉이 커지면
좀 더 빨리 병원에 안 간 것을 후회할 수 있기 때문에 상처가 작더라도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는 것을 추천합니다.

알코올 소독은 신중히!
간혹 많이 다쳐 꿰매야 할 상처 부위를 집에서 알코올로 소독하고 병원에 가는 경우가 있는데요.
상처부위에 알코올 소독을 행한다면, 아이가 많이 아파할 뿐만 아니라,
다친 부위의 조직에 손상을 주거나 아무는 것을 더디게 할 수 있으니
상처가 크다면 깨끗한 거즈로 상처 부위를 지혈 후, 바로 병원이나 응급실로 가시는 걸 추천합니다.

상처 딱지 떼면 안돼요!
상처가 아물 때 생기는 딱지는 떼면 안돼요!
아이들은 새살이 돋을 때 간질간질하니까 자꾸 상처부위의 딱지를 떼려고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딱지를 떼면 흉이 남지 않을 상처라도 흉이 남을 수 있으니 딱지는 떼면 안됩니다.

붕대 풀면 2차 감염!
아이들은 붕대를 감아두면 답답하니까 자꾸 물어 뜯거나 손으로 풀려고 하는데요.
병원에서 상처를 소독한 뒤 싸둔 붕대는 다음에 병원 갈 때까지는 풀어서는 안됩니다.
상처에 싸둔 붕대를 함부로 풀면 2차 감염 확률이 높아진답니다.

상처 부위, 햇볕 노출 주의하세요!
화상과 마찬가지로 상처가 아문 부위는 햇볕에 오래 노출되면 검게 변한답니다.
아이가 밖에 나갈 때 상처 부위가 얼굴이면 자외선 차단 크림을 발라주고 챙이 넓은 모자를 씁니다.
또 상처 부위가 팔다리면 마찬가지로 자외선 차단 크림을 바른 뒤,
옷을 긴 소매와 긴 바지를 입히는 것을 추천합니다.
※ 녹이 슨 못이나 날카로운 것 등에 찔렸을 때!
녹슨 못이나 날카로운 것 등에 찔리면,
아무리 작은 상처라도 필히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하는데요.
특히 파상풍 예방접종이 제대로 안된 아이는 예방접종 카드를 가지고
병원에 가서 상처 치료와 함께 파상풍 접종을 해야 합니다!
상처가 생기면 의사의 진료를 받고 치료를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찢어진 상처는 4시간 이내에 치료를 해야 세균 감염을 줄일 수 있으며
꿰매야 하는 상처는 늦어도 12시간 안에는 꼭 꿰매야 하죠.
지혈을 위해서 상처 부위에 이것저것 바르는 분들이 많은데요!
하지만 이러한 행동은 신중할 필요가 있답니다. 이유는 상처 회복에 방해가 되는 행동 일수 있기 때문에
부모는 신중하게 행동해야 합니다.
또한, 상처가 꿰매야 할 정도라면 알코올로 소독하는 응급처치는 좋은 방법은 아닙니다.
이유는 알코올로 소독한 부위는 꿰맬 때 잘 아물지 않을 수도 있답니다.
날카로운 곳에 찔렸어요! (베었어요!)
상처에 아무거나 바르면 안돼요!
상처 부위에 아무거나 바르면 치료하기가 더욱 힘들어 진답니다.
가벼운 상처일 때는 지혈만으로도 상처가 저절로 아물죠.
그런데 상처가 크게 났을 때에도 부모들은 지혈에만 급급해서
가루약이나 항생제를 상처에 듬뿍 바르고 병원에 오곤 합니다.
하지만 이런 경우에는 상처를 치료하기가 더욱 힘들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랍니다.
심지어 약이 아닌 소위 말하는 민간요법인 감자가루, 밀가루, 녹말가루 등을 바르고 오곤 하시는데요.
지혈제를 사용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그리고 바셀린 같은 경우는 지혈에는 약간 도움이 되겠지만 꿰매야 할 정도의 큰 상처라면 바르지 마시길 바랍니다.
이유는 상처 회복에 오히려 지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날카로운 곳에 찔리거나 베인 경우, 가장 베스트는 지혈제를 사용한 다음 병원으로 가셔서 치료하는 것이
우리 아이에게 흉이 덜 남게 치료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랍니다.
벌어진 상처는 꿰매야 해요!
꿰매야 할 정도로 벌어진 상처는 가능하면 4시간 이내에 꿰매야 염증을 최소화할 수 있어요.
늦어도 12시간 안에는 조치를 취해 줘야 한답니다.
더 늦으면 상처가 아무는 데 문제가 생길 수도 있기 때문에 근처,
가까운 병원이 있다면 상처 부위를 지혈하면서 바로 병원으로 가는 것을 추천합니다.
만약 병원이 멀거나 상처가 지저분하다면, 식염수나 깨끗한 물로 더러운 것을 최대한 씻긴 거즈로 지혈 후,
바로 병원으로 갑니다.
※ 상처 부위가 더러울 때 입으로 빨아내는 행동은 절대 금물입니다!
우리 아이 다친 곳, 흉을 최소화 하려면?!
아무리 작은 상처라도 병원에 가세요.
상처가 작다고 그냥 집에서 치료할 경우, 잘못하면 염증이 생기면서 흉이 남게 되는데요.
상처 부위에서 피가 나면 일단 병원에 가서 의사의 진찰을 받고 깨끗한 소독약과 거즈로 상처를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상처가 났을 때는 별 것 아니라고 생각했다가 나중에 문제가 생기거나 흉이 커지면
좀 더 빨리 병원에 안 간 것을 후회할 수 있기 때문에 상처가 작더라도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는 것을 추천합니다.
알코올 소독은 신중히!
간혹 많이 다쳐 꿰매야 할 상처 부위를 집에서 알코올로 소독하고 병원에 가는 경우가 있는데요.
상처부위에 알코올 소독을 행한다면, 아이가 많이 아파할 뿐만 아니라,
다친 부위의 조직에 손상을 주거나 아무는 것을 더디게 할 수 있으니
상처가 크다면 깨끗한 거즈로 상처 부위를 지혈 후, 바로 병원이나 응급실로 가시는 걸 추천합니다.
상처 딱지 떼면 안돼요!
상처가 아물 때 생기는 딱지는 떼면 안돼요!
아이들은 새살이 돋을 때 간질간질하니까 자꾸 상처부위의 딱지를 떼려고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딱지를 떼면 흉이 남지 않을 상처라도 흉이 남을 수 있으니 딱지는 떼면 안됩니다.
붕대 풀면 2차 감염!
아이들은 붕대를 감아두면 답답하니까 자꾸 물어 뜯거나 손으로 풀려고 하는데요.
병원에서 상처를 소독한 뒤 싸둔 붕대는 다음에 병원 갈 때까지는 풀어서는 안됩니다.
상처에 싸둔 붕대를 함부로 풀면 2차 감염 확률이 높아진답니다.
상처 부위, 햇볕 노출 주의하세요!
화상과 마찬가지로 상처가 아문 부위는 햇볕에 오래 노출되면 검게 변한답니다.
아이가 밖에 나갈 때 상처 부위가 얼굴이면 자외선 차단 크림을 발라주고 챙이 넓은 모자를 씁니다.
또 상처 부위가 팔다리면 마찬가지로 자외선 차단 크림을 바른 뒤,
옷을 긴 소매와 긴 바지를 입히는 것을 추천합니다.
※ 녹이 슨 못이나 날카로운 것 등에 찔렸을 때!
녹슨 못이나 날카로운 것 등에 찔리면,
아무리 작은 상처라도 필히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하는데요.
특히 파상풍 예방접종이 제대로 안된 아이는 예방접종 카드를 가지고
병원에 가서 상처 치료와 함께 파상풍 접종을 해야 합니다!